cmd 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하고 결과를 확인하는데 한글이 깨지는 케이스가 발생했다.
그래서 정보를 수집하던 중 CMD Codepage 설정이라는 주제를 접하게 되었다.
언어설정이 한글로 된 OS 에서는 Codepage 기본값이 949 로 확인되었다.
확인하기 위한 커맨드는 간단하다.
$ chcp
949 로 되어있는데도 한글이 깨지는 케이스가 발생하였고
UTF-8 로 변경해주고 시도해보았다.
UTF-8 의 Codepage 값은 65001 이다.
아래페이지에서 Codepage 값들을 확인할 수 있다.
한글 기본값 : 949
영문 기본값 : 437
docs.microsoft.com/ko-kr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chcp
chcp
활성 콘솔 코드 페이지를 변경 하는 chcp 명령에 대 한 참조 문서입니다.
docs.microsoft.com
$ chcp 65001
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Active code page 가 나온다.
변경된 Codepage 는 chcp 명령을 실행한 cmd 창에만 적용되며
shell script 최상단에서 적용하면 사용할 수 있을 듯하다.
한글깨짐문제는 해결되지 않았지만 다른 케이스에서는 사용해볼 수 있을듯하다.
기본설정 Codepage 를 변경하려면 레지스트리에 설정값을 등록해야하며
해당 내용은 정리를 잘해둔 블로그가 있어 공유한다.
윈도우10 CMD 한글 깨짐 해결 방법 - 익스트림 매뉴얼
윈도우10을 영문 버전에서 한글팩을 설치한 경우, 또는 인사이더 프리뷰 같은 베타 서비스를 이용해 윈도우10을 업데이트 한 경우 명령 프롬프트(CMD)를 사용할 때 한글이 깨져 보이는 경우가 있
extrememanual.net
'IT 지식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irtualbox vdi 경로 변경하기 (0) | 2021.04.12 |
---|---|
Blue-Green 배포 방식 (0) | 2021.03.24 |
tshark.exe 로 패킷덤프 추출예제 (0) | 2021.03.18 |
Windows 10 부팅 시 Virtualbox VM 자동 실행시키기 (0) | 2020.03.17 |
S/W 개발자 자기계발 및 트렌드 분석법 (0) | 2019.12.15 |
최근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