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당 예제는 송자바코딩님의 "자바 스프링부트 활용 웹개발 실무용" 강의를 따라 진행하며 기록하였습니다.
개발환경
OS : Windows 10 Home
IDE : Eclipse 2021-09 버전
Java : openjdk11
E01 서버개발 프로젝트 생성 + Mybatis + MariaDB 연동
Eclipse Marketplace 에서 Spring Tool 설치
스프링 프로젝트 생성
Project Explorer 에서 우클릭 -> New -> Spring Boot -> Spring Starter Project
선택한 패키지가 pom.xml 에 자동으로 선언된다.
Next -> Finish 로 생성
생성된 프로젝트 확인
Run Spring Boot App
에러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메세지를 확인해보면 database 설정 관련 문제인 것으로 보인다.
아래 내용으로 검색하면 많은 예시가 있다.
Failed to configure a DataSource: 'url' attribute is not specified and no embedded datasource could be configured.
예제를 따라 Configuration 관리를 위한 패키지를 생성하고
DatabaseConfiguration Class 를 작성해준다.
@ (어노테이션) 을 작성하고 Ctrl + Space Bar 단축키를 사용하면 필요한 Class 를 import 할 수 있다.
@Configuration 어노테이션 아래 @Bean 어노테이션을 선언하고 메소드를 작성하면
해당 메소드가 스프링 컨테이너의 빈으로 등록된다.
이후 resources\application.properties 에 spring.datasource 설정값을 입력하면 해당 설정이 반영된다.
application.properties 를 작성하고 다시 Run Spring Boot App
정상적으로 실행된다.
강의에서는 mariaDB jdbc 를 pom.xml 에 dependency 로 등록하지만 현재 버전에서는 바로 실행이 된다.
스프링부트가 실행된 8080 포트로 접속했을 때 Whitelabel Error Page 가 보일 것이며
접속한 로그가 Console 에 찍힌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배운점
@Bean 과 @Configuration 의 등록방법과 Bean 이 무슨 역활을 하는지 얕게라도 알게됨
Spring Boot 프로젝트를 만들면 바로 실행가능한 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됨
느낀점
Spring 이 왜 대규모사이트에서 사용하는지 알것 같다.
생각보다 기본라이브러리가 많아서 공부할 점이 많아보인다.
참고사이트
https://mangkyu.tistory.com/75
최근댓글